민사

프리랜서 구두계약 미지급 대금 청구 방법

AI 검증
2025-04-04
21

질문 내용

저는 1인 개발자로, 한 스타트업과 작년 3월부터 함께 일했습니다. 따로 정식 계약서를 쓰진 않았지만, 대표와 구두로 월 400만 원의 정산 조건으로 합의했고, 매달 구글드라이브에 작업 내용을 공유하고 슬랙으로 업무를 주고받으며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그런데 최근 대표가 "투자가 무산돼서 돈을 줄 수 없다"며 지난 2개월치 대금을 미지급하고 있습니다. 업무 분량과 산출물은 모두 남아 있고, 메일과 슬랙 대화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 법적으로 제가 받을 수 있는 권리는 무엇이며, 프리랜서가 계약서 없이도 정당한 대금 지급을 청구할 수 있는 근거는 어떤 법령에 있나요?

추가 정보 확인

구두 계약 당시 합의된 업무 범위와 최종 결과물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이 무엇이었나요?

미지급된 2개월 동안의 업무 내용과 그에 대한 객관적인 증거(작업 내역, 슬랙 대화 등)를 구체적으로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스타트업의 투자 무산 주장이 사실인지,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자료가 있는지 (예: 투자 계약서, 투자 무산 관련 공지 등) 알려주세요.

미지급된 대금에 대한 지급 요청을 서면으로 진행한 적이 있나요? 있다면 그 내용과 스타트업의 답변을 알려주세요.

AI의 답변

구두 계약도 법적 효력이 있습니다. 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았더라도, 당사자 간의 합의가 있었다면 계약은 성립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제공해주신 정보에 따르면, 월 400만원의 보수에 대한 구두 합의가 있었고, 실제로 업무를 수행했으며 그에 대한 증거(구글 드라이브 작업내역, 슬랙 대화)도 존재하므로, 계약은 유효하게 성립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스타트업의 투자 무산은 대금 미지급 사유가 될 수 없습니다. 계약 당사자인 스타트업은 약정된 보수를 지급할 의무가 있으며, 투자 유치 실패 등 회사의 재정적인 어려움은 그 의무를 면하게 하는 사유가 되지 않습니다. 미지급된 대금에 대한 지급 청구가 가능합니다. 구두 계약이라 하더라도, 계약 내용과 이행 사실을 입증할 수 있는 자료(슬랙 대화, 구글 드라이브 자료, 메일 등)를 통해 미지급 대금 청구가 가능합니다. 객관적인 증거자료들을 바탕으로 내용증명을 발송하여 미지급 대금 지급을 요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내용증명에 구체적인 계약 내용(계약 시작일, 월 보수, 업무 범위 등), 미지급된 기간과 금액, 지급 기한 등을 명시하고, 관련 증거자료를 첨부하여 발송하면 향후 소송 등 법적 절차 진행 시 유리한 증거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만약 내용증명 발송 후에도 스타트업이 대금 지급을 거부한다면, 민사소송을 통해 대금 지급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소송 과정에서 법원은 제출된 증거를 바탕으로 계약의 성립 여부와 미지급 대금의 존재를 판단하게 됩니다. 소송 전에 변호사와 상담하여 소송 진행 전략을 세우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가능한 해결책: 1. 내용증명 발송: 미지급 대금 지급을 최고하고, 향후 법적 조치를 예고하는 내용증명을 발송합니다. 2. 지급명령 신청: 간이한 소송 절차인 지급명령을 법원에 신청하여 대금 지급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3. 민사소송 제기: 스타트업이 지급명령에 이의를 제기하거나, 다른 이유로 지급을 거부하는 경우, 민사소송을 통해 대금 지급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제공된 법령 중에는 본 질문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법령은 없습니다. 본 답변은 민법상 계약의 원칙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